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74

[부동산] 매력 없어진, 스타벅스 건물주 일반적인 임대차계약에서는 임대료를 고정시키지만, 임대료를 매출액의 일정비율로 하는 변동임대료(수익공유모델)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수익공유모델에서 임대료는 수수료로 표현되기도 하며, 사실상 임대인이 간접적으로 창업(자영업)을 영위하는 효과가 있었다. 신규 입점시 인테리어 공사비는 임대인이 부담하게 되는데, 건물주 입장에서는 수억원대에 달하는 공사비 외 대출이자·세금 을 감안하면 수익내기가 만만치 많다. 자영업자 못지 않는 스트레스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임대료를 수익공유모델로 책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업은 SCK컴퍼니(구 스타벅스코리아)이다. 스타벅스는 직영으로만 운영되기에, 개인이 가맹점을 창업할 수가 없다. 스타벅스 초기에는 고정임대료 방식도 있었지만, 이후 수익공유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2010년.. 2025. 10. 14.
[경제] 눈 앞에서 커져가는, 거품 2025년 10월 현재 중앙은행들은 양적 긴축을 통해 유동성을 회수하고 있지만, 시중의 유동성은 쉽사리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는 중앙은행과 달리 비은행 금융기관(NBFI,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이 유동성을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은행이 신용창조 기능을 가지고 있었는데, 은행권의 규제 틈바구니 속에서 글로벌 자산운용사(특히 블랙록)가 대출(신용창조)를 대신하고 있다. 펀드는 최대 4배의 레버리지까지 대출을 실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문제는 담보력이다. 사모신용(Private Credit) 대출상품이 스타트업에 집중되지만, 이들 기업은 무형자산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기에 그 담보력을 확신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글로벌 I.. 2025. 10. 13.
[기업] 광고에 진심이었던, 나산 2008년 버티비전(선운그룹 계열)은 포항 필로스호텔(구 시그너스호텔)을 인수·운영해왔는데, 선운그룹은 나산그룹의 후신이다. 2020년 버터비전은 필로스호텔을 선운에게 170억원에 매각한 후, 2021년 190억원에 재매입했다. 당시 선운은 1년 반만에 +20억원의 매매차익을 얻었으나, 보유 중이던 버티비전 주식(지분율 42.55%)을 지티비(선운그룹 가족회사)에 매각하면서 처분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매입한 지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 버티비전은 필로스호텔을 밸류홀딩스에 270억원에 매각하면서 +80억원의 매매차익을 얻었다. 결국 부동산 매매차익은 선운이 아닌 지티비가 얻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이후 브릿지·PF론·착공 단계에 있었던 개발사업은 90% 이상의 확률로 실패했을 가능성이 높.. 2025. 10. 12.
[중국] 경제충격의 단초, 희토류 2025년 10월 10일 새벽 즈음, 미증시의 낙폭이 가파라지기 시작했다. 결국 애프터장까지도 하락이 이어지면서, 나스닥 △3.5%, S&P △2.7%까지 하락했다. 반도체 주식 전반이 하락했는데, 그 트리거는 트럼프였다. 중국이 발표한 희토류 생산요소 수출통제를 계약위반·무역적대행위로 규정하면서, 11월 1일부터 100% 추가관세(기존 관세 30%)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희토류(REEs, Rare Earth Elements)는 주기율표 상에서의 17개 원소를 의미하는데, 란타넘족 15종(원자번호 57~71) 외에 스칸듐·이트륨(Y)을 통칭한다. 희토류는 지각에서 농축된 광석 형태로 발견되지 않는 편이며, 화학적·전기적·자성적·발광적 특성이 뛰어나 첨단기술에 필수재로 사요오딘다. 대체적으로 은백색을 .. 2025.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