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골프12 올리지 말고 올려야 하는, 골프 서울 전역이 하얀 설국으로 변했던게 지난 일주일 전이었는데, 어느덧 영상 20도씨 가량의 완연한 봄날이 찾아왔다. 골프장을 찾는 이들의 옷가지도 한층 가벼워졌지만, 동계에 쓰임새가 없었던 골프근육들은 무겁게만 느껴진다. 몇 주만 연습을 하지 않아도 몸은 스윙을 망각하며, 전에 없던 힘이 튀어나온다. 골프에서 연습만이 살 길이라는 격언은 몸에 기억된 스윙메커니즘을 다시 소환하는 시간을 짧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일단 채를 잡는 그립이 어색한데, 그립의 대원칙은 다음과 같다."왼손은 손바닥, 오른손은 손가락" 왼손은 손바닥이라고 말하지만, 결국 3개의 왼손가락 첫마디로 잡아야 내야 한다. 왼손가락 3개(중약소)와 오른손가락 3개(엄검중)이다. 양손을 최대한 분리한 채로 그립을 잡으면, 아이스하키채 잡는듯한 자.. 2025. 3. 24. 채찍처럼 다뤄야 하는, 샤프트 [Music] 잔디 위를 걸으며https://www.youtube.com/watch?v=WR0KZ83MPZQWalking on the Grass #잔디 위를 거닐며인간이 본능적으로 선호하던 자연(사바나)와 단절된 시점은 산업화 이후이며, 인간들은 임계치 이상의 시간 동안 자연과 단절되면서 녹색갈증을 겪게 되었다. 결국 육체·정신적 회복을 위해서는 자연과의 접촉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병원에 입원하거나 병문안 갔을 때, 창가자리에 위치한 베드가 더 좋게 느껴진다. 고층에서는 강물·숲·하늘을 바라볼 수 있고, 저층에서는 나무·잎새나 확 트인 도로를 볼 수 있는 기회가 많기 때문이다. 많은 스포츠들이 녹색잔디가 깔린 그라운드에서 치러지는데, 여기서 인류조상이 생존을 위해 분투했던 사바나 초원이 연상된다. 골프.. 2024. 12. 31. 마음대로 되지 않는 세상, 내려놓기 최근 KPLGA에서는 박현경이 2주 연속 연장우승을 해서 화재이다. 개인적으로는 이전의 박현경과 조금은 다른 모습을 보여줘서 인상 깊었다. 뭔가 스스로의 포텐셜을 깨우는 자기관리법을 깨달은 듯한 모습이랄까. 오늘은 골프경기를 통해 마인드의 혁신이 가져다 주는 결과물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기대하지 않을 때 나오는, 예상 밖 결과2024년 6월 23일 포천힐스CC(포천시)에서 열린 KLPGA 「BC카드·한경레이디스컵」 최종라운드에서는 박현경·윤이나·박지영이 연장전에 진출했다. 연장 1차전(파5)에서는 모두 버디, 2차전에서는 모두 파를 기록했다. 3차전에서는 혼자 파를 기록한 박지영이 탈락했다. 연장 4차전 티샷 직후 카트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박현경의 목소리가 방송에 흘러 나왔는데, 지친듯 무념한듯 내.. 2024. 7. 15. 스트로크 일체감을 높여주는, 롱썸 어드레스에서의 왼팔꿈치(내지 왼팔오금) 위치는 많은 유튜버들에게 좋은 레슨감이다. 왼팔오금이 정면을 보라는 이들도 있는 반면, 왼팔오금이 타겟반대방향의 측면을 바라봐야 한다는 이도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배경설명은 일견 타당하게 들리지만, 골프라는 운동이 그렇게 단편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마치 보내야 할 목표거리별로 자세·움직임이 스펙트럼처럼 달라진다. 이전 글 빛을 모으지만 과하면 바래지는, 눈>에서 파장별로 연속적인 전자기 스펙트럼(자외선·가시광선·적외선)을 보여준 적이 있는데, 골프도 거리별·클럽별(드라이버·우드·유틸리트·아이언·퍼트)로 취해야 하는 자세가 다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창의적이면도 정확한 방향과 거리감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도로 해석되는, 스트로크 미국.. 2024. 7. 8.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