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0

[경제] 금리인하 경쟁의 단초, 관세 인류가 정착생활을 시작하고 도시를 형성하면서, 자연스레 교역이 늘어났다. 서양 고대문명(메소포타미아·이집트)에서는 특정지역을 통과하는 외부의 상품에 대해 관습적으로 세금(통행료)을 부과하는 제도가 있었는데, 오늘날 관세의 기원이다. 관세는 국내산업을 보호하고 국가재정을 확보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통행세의 개념에서 출발하다 보니, 해적과도 연관이 많다. 16세기 대항해시대, 대서양으로 진출한 스페인은 지중해에 대한 관심이 줄어 들었는데, 이 때 이슬람 해적들이 타리파(스페인 남부 섬)를 점령했다. 타리파(Tarifa)는 타리크(Tariq, 무어인 장군)의 이름을 딴 지명이다. 해적들은 타리파를 거점으로 하여 지브롤터 해협을 통과하는 무역선들로부터 통행료를 강제징수했는데, 이 통행료가 훗날 관세(Tar.. 2025. 7. 10.
[대학/병원] 더 이상 작지 않은, 한림대 2025년 7월 한림대학교의료원은 스마트도시협회와 양해각서(MOU, 업무협약)을 체결했는데, 그 목적은 스마트병원과 도시·건축(로봇친화형) 간의 연계모델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한다. 한림대학교의료원는 로봇·AI 운영 노하우가 많은 병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77대의 의료서비스로봇을 의료현장에 투입 중이다. 국내 의료기관 중에서 가장 많은 의료로봇을 보유함으로써, 로봇운행데이터를 누적 중에 있다. 1995년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처방전달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도입한 이후, 혁신적인 변화를 빨리 받아들이는 의료기관이라는 이미지를 이어왔다. 4차 산업시대의 씨앗, 의료데이터 데이터(정보)가 경쟁력으로 작용하는 시대인 만큼, 로봇운행데이터에 내재된 가치가 크다. 한림대의료원은 의.. 2025. 7. 6.
[과학/원소] 배터리의 필수 소재, 리튬 현대인들에게 리튬(Lithium, 원소번호 3번)은 매우 익숙한 원소로, 전자기기에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 배터리의 핵심소재이기 때문이다. 리튬은 가벼운 금속원소로, 상온에서 은백색을 띄고 있다. 또한 강한 전기전도성과 화학반응성은 가지고 있다. 리튬이 전지(배터리) 양극 소재로 사용되는 이유는 모든 원소 중에서 표준환원전위가 가장 낮기(약 -3.04V) 때문인데, 이는 가장 큰 환원력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리튬은 흔한 원소 중의 하나에 속하지만, 경제적으로 추출 가능한 리튬광석은 일부 국가(칠레·호주·아르헨티나 등)에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다. 이들 국가와의 무역관계 유지는 리튬공급의 지속가능성에 있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차전지의 핵심, 리튬 1912년 루이스(Gilbert Newton Le.. 2025. 7. 5.
[건강] 손쉽게 보는 건강상태, 위상각 매년 건강검진에서 인바디에서 체성분을 측정하는데, 최근 인바디 결과표에 위상각 항목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바디(InBody)의 기본원리는 생체전기임피던스분석법(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으로, 미세전류가 몸 속을 통과할 때 생기는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임피던스(impedance)는 교류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체적인 전기적 저항으로, 일반저항(resistance)에 교류에서만 발생하는 반응저항(유도성·용량성)가 더해진 개념이다. 반응저항(reactance)는 교류회로에서 코일·축전기 등의 소자가 전류흐름을 방해하는 현상으로, 실질적으로 전력을 소모하지 않고 전압·전류 사이에 위상차만을 일으킨다 BIA를 선도하는, 인바디 인체의 70% 이상은 수분으로 구성되어 .. 2025. 6.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