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33 시대에 따라 다른 평가, 비만 현대사회에서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1960년대 보릿고개가 사라지기 전만 하더라도, 비만이 아닌 영양실조가 걱정이었다. 보릿고개는 지난 가을에 수확한 곡물이 소진된 후 당해 봄에 뿌린 보리가 여물지 않은 초여름(5∼6월) 시기를 의미하는데, 추수 수확물에서 비용(소작료·세금·이자 등)을 지불한 농민들이 초여름까지 버티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이 시기 굶주림에 지친 농민들은 산나물·풀뿌리·나무껍질로 끼니를 때우는 것이 일상이었고, 한국인이 독성이 있는 산나물을 즐기는 역사적 배경이다. 1960년대 이후 벼품종 개량과 비료·농약 공급을 확대하면서 식량의 자급자족이 가능해졌고, 이후 보릿고개는 사라졌다. 사실 보릿고개가 사라지기 전만 하더라도, 비만은 풍요의 상징이었다. 조.. 2025. 2. 19. 유방암을 키우는 수용체, HER2 [Music] 모두에게 평화를https://www.youtube.com/watch?v=IcpcM8ro2GcPeace for All #모두에게 평화를왠지 글래머러스한 여성이 유방암에 취약할 것이라는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동양여성들은 가슴 사이즈가 작음에도, 불규칙하고 치밀한 유방이 많은 편이라 유방암의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한국여성도 70% 가량이 치밀유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오늘은 유방암의 아형 중 하나인 허투(HER2)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실질조직이 과한, 치밀유방 유방조직은 다음의 2개로 구분된다. 실질조직 : 유선·유관 등지방조직 유방촬영술(X선)에서는 실질조직의 비중에 따라 4단계의 구분을 하는데, 이 중 치밀유방은 실질조직이 각각 50%·75%를 초과하.. 2024. 12. 4. 진화속도를 키우는, 항암제 오늘날에도 에이즈와 함께 암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가진 이들이 많을 것이다. 사실 가족 중에 암환자가 있지 않는 이상, 암과 그 치료에 대한 이해는 부족할 수 밖에 없다. 2000년 이전은 1세대 항암제의 시대로, 대중매체에서 비춰지는 암환자의 이미지는 치료 부작용으로 고통받는 시한부였다. 21세기 들어서는 항암제시장에 괄목할 만한 변화가 생기게 된다. 2000년대는 2세대 항암제, 2010년대는 3세대 항암제가 개발·출시되면서 다양한 항암치료의 길을 연 것이다. 암이라 하면 보통 수술을 떠올리기 때문에 외과로 인식하기 쉽지만, 실제 수술 전후로 시행되는 선항암치료·후항암치료는 내과(혈액종양내과)에서 진료·처방을 받는다. 즉 암환자는 외과의보다는 내과의와 더 많은 시간을 가지게 된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2024. 11. 24. 생각보다 많아야 하는, 위산 위염은 한국인이 일상적으로 가장 자주 접하는 질환이지만, 일부는 위암으로 발전될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도 술을 마시기 시작한 10대 후반 처음 위염이 생긴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달고 있다. 매년 위내시경을 받다보니 시계열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데, 8년 전 검진결과를 보니 표재성 위염이 있었다. 그로부터 3년 후에 미란성 위염이 생겼고, 2024년 미란성 위염과 위축성 위염이 함께 나타났다. 모든 케이스에 해당되는 말은 아니겠지만, 일부 의사는 위암·대장암·췌장암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먹고 싶은거 다 먹어서,생기는 병" 위염이 교과서대로 발전하고 있는 결과들을 바라보면서, 곰곰히 지난 인생을 되돌아 봤다. 정말이지 살아 오면서 입으로 들어오는 음식의 종류·섭취량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 2024. 10. 22.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