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1 시대에 따라 다른 평가, 비만 현대사회에서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1960년대 보릿고개가 사라지기 전만 하더라도, 비만이 아닌 영양실조가 걱정이었다. 보릿고개는 지난 가을에 수확한 곡물이 소진된 후 당해 봄에 뿌린 보리가 여물지 않은 초여름(5∼6월) 시기를 의미하는데, 추수 수확물에서 비용(소작료·세금·이자 등)을 지불한 농민들이 초여름까지 버티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이 시기 굶주림에 지친 농민들은 산나물·풀뿌리·나무껍질로 끼니를 때우는 것이 일상이었고, 한국인이 독성이 있는 산나물을 즐기는 역사적 배경이다. 1960년대 이후 벼품종 개량과 비료·농약 공급을 확대하면서 식량의 자급자족이 가능해졌고, 이후 보릿고개는 사라졌다. 사실 보릿고개가 사라지기 전만 하더라도, 비만은 풍요의 상징이었다. 조.. 2025. 2. 19. 점점 사라지는 연봉, 네트 근로소득세액에 대한 연말정산은 소득세 과세기간이 경과한 다음 연도 2월분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소득세를 확정하여 정산(추가징수·반환)하는 절차이다. 이전 글 연말정산과는 또 다른 정산, 건강보험료>에서는 건강보험료 정산에 대해 설명하면서 연말정산도 잠시 언급했었다. 근로자가 소득세 확정을 위한 공제사유를 입증해야 하는데, 요즘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대부분의 공제증빙을 제공한다. 연말정산의 결과는 개인의 공제사정(부양가족·소비·대출·의료·교육·기부 등)에 따라 많게는 수백만원까지 차이가 난다. 원천징수의무자(사용자)가 기납부한 세금(원천징수액)과 결정세액을 비교하여 1년에 한번 정산하게 되는데, 원천징수는 특정의 소득지급자는 그 소득자가 부담해야 할 세액을 국가를 대신하여 징수·납.. 2025. 2. 18. [역사/교육] 조선인 엘리트의 산실, 고보 최근까지도 국내 최대 학연집단은 KS(경기고·서울대)였으며,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관료·정치권에서는 KS출신이 허다했던 기억이 난다. 개인적으로는 인상 깊은 인물은 이회창·한덕수가 있는데, 1953년 경기고를 졸업한 이회창은 아버지·형제가 모두 경기고를 졸업했다고 한다. 실제 1970년 경기고 졸업생 80% 이상이 서울대학교에 진학했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인데, 명문학교로의 명성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경성제일고보)은 경기고의 전신으로, 일제강점기 내내 경성제국대학 예과에 가장 많은 합격생을 배출한 학교가 경성제일보고였다. 1973년 고교평준화가 시행되기 전까지 경기고는 국내 최초·최고의 명성을 이어왔다. 조선인 중등교육기관, 고보 일제강점기 조선인 엘리트를 언급할 때, 고.. 2025. 2. 16. 항문의 파수꾼, 비데 신축아파트는 시간이 흐르면서 준신축·구축으로 변모해 가는데, 그런 과정에서 주택관리에 대한 개념이 생기게 된다. 사실 신축된 지 5년 이내에는 시공하자로 인한 보수가 많은 반면, 수선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 결혼 이후 3곳의 신축아파트에 살았는데, 첫 2곳에서는 각각 4년·5년을 살았다. 근 10년 동안을 주택수선에 대한 인식을 가지지 않고 편하게 살았던 것이다. 하지만 현재 사는 아파트는 입주 8년차인데, 이전에 없던 이슈가 다가왔다. 양변기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안방화장실·공용화장실은 다음과 같이 다른 형태의 양변기가 설치되었는데, 평소 안방화장실의 수압이 높지 않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안방화장실 : 치마형 + 원피스 + 림홀공용화장실 : 치마형 + .. 2025. 2. 15.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6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