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61 [정치] 정치의 리허설, 학생운동 2000년 이후의 정치를 이해할려면, 1970~1990년대 학생운동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군부독재가 자본의 효율적 배분으로 경제성장에 기여한 바가 적지는 않았지만, 민주적이지는 못했다. 하지만 국부가 증가하고 국민의식이 고양되면서, 민주화를 갈구하는 국민들의 정치적 욕구가 커져만 갔다. 그렇게 김대중 이후 진보정당을 4차례나 집권하게 되었고, 학생운동 주역들은 정치권으로 대거 입성하게 된다. 정당은 외부정당과의 경쟁도 치열하지만, 그 내부에서의 싸움도 만만치 않다. 2024년 4월 총선 이전, 민주당 소속의원 상당수가 86세대(60년대생, 80년대 학번)의 운동권 출신이었다. 총선을 앞두고 더민주전국혁신회의(친이재명계 원외조직)은 중진급 인사들의 출마에 대한 우려를 표했는데, 이는 사실상 86세대의.. 2025. 8. 28. [기업] 출판사에서 시작한, 사조 서울 근교에서 자주 찾는 골프장이 캐슬렉스GC이다. 현재는 감일지구에 포함되다시피 하여 골프장 주변에 아파트들이 줄지어 서있지만,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시골길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과거 명절시즌이면 캐슬렉스 프로샾에서 사조선물세트를 매우 저렴하게 판매하여, 선물용으로 구매하곤 했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그런 프로모션이 없어지면서, 캐슬렉스를 찾는 소소한 재미가 사라졌다. 2025년 5월 공정위는 92개 기업집단(자산총액 5조원 이상)을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했는데, 2025년에 최초로 공시대상기업집단에 포함된 회사는 다음 5개사이다. 사조LIG대광빗썸유코카캐리어스 신규 지정된 공시대상기업집단은 6월 1일부터 공정거래법상 규제(공시·신고 의무, 총수일가 사익편취 금지 등)를 적용받는.. 2025. 8. 8. [국가/미국] 14년 만의 사상누각, FTA 무역시장 개방은 다른 말로 자유무역 내지 저율관세로 표현되기도 한다.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협상에 따라, 한미FTA(2012년 시행) 쳬제가 중단되었다. 대부분의 무역품목 관세율은 한미FTA 시행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인하되었으며, 14년이 지난 2025년 시점에는 관세율이 0%로 수렴한 상태였다. 관세율이 0%에서 15%로 상향되었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밖에 없다. 이전 글 남북전쟁의 불씨, 관세>에서 19세기 링컨의 고관세정책은 20세기 초반 미국을 강대국으로 성장하는데 큰 발판이 되었고, 2025년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디플레이션 부작용없이 과거의 영광을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 언급했었다. 19세기 후반 미국의 생산기술 발전은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관세수입을 통해.. 2025. 8. 4. [교육/대학] 증권사를 매각한, 한양 2021년 만 하더라도 한양산업개발은 재무적으로 탄탄한 시행·시공사로 평가 받았었는데, 이는 한양학원이 뒤를 받치고 있다는 이미지가 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료파업과 PF부실로 한양학원의 재무상태는 급속히 악화되었고, 결국은 자산매각을 통해서 유동성을 확보해야 했다. 대학재정(특히 사립대학)은 재정에서 명확한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운영비는 증가하는 반면, 등록증은 규제(동결)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익원을 다양화하고 확대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 과거와 달리 학교법인이 교육·학교운영 목적 밖에서 영리행위를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사립대학이 취할 수 있는 수익사업모델은 다음 정도 수준에 머물 수 밖에 없다. 산학연 수주사업 : 산학협력비학위과정 : 평생교육.. 2025. 8. 1. 이전 1 2 3 4 5 6 ···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