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48

[과학/원소] 배터리의 필수 소재, 리튬 현대인들에게 리튬(Lithium, 원소번호 3번)은 매우 익숙한 원소로, 전자기기에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 배터리의 핵심소재이기 때문이다. 리튬은 가벼운 금속원소로, 상온에서 은백색을 띄고 있다. 또한 강한 전기전도성과 화학반응성은 가지고 있다. 리튬이 전지(배터리) 양극 소재로 사용되는 이유는 모든 원소 중에서 표준환원전위가 가장 낮기(약 -3.04V) 때문인데, 이는 가장 큰 환원력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리튬은 흔한 원소 중의 하나에 속하지만, 경제적으로 추출 가능한 리튬광석은 일부 국가(칠레·호주·아르헨티나 등)에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다. 이들 국가와의 무역관계 유지는 리튬공급의 지속가능성에 있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차전지의 핵심, 리튬 1912년 루이스(Gilbert Newton Le.. 2025. 7. 5.
[군사] 숨겨도 소용 없는, 벙커버스터 2025년 6월 미국이 벙커버스터를 사용하여 이란에 직접적인 실력을 행사했다. 취임 이후 관세추진을 비롯한 뚜렷한 성과가 없는 상황에서, 타코(TACO, Trump Always Chickens Out)라는 불리는 트럼트가 선택한 최대압박(maximum pressure) 전략일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는 강경한 정책을 발표한 후, 시장의 반응이나 경제적 부담에 따라 바로 철회·완화하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보여 왔다. 원래 트럼프는 협상을 통한 외교적 성과를 전리품으로 삼는 경향이 큰데, 이스라엘의 선제공격이 다급한 트럼프의 전략에 변화를 줬을지도 모른다. 사실 일진은 실력행사 직전에 가장 권위적이고 파괴적인 인상을 주는데, 일단 공격에 나선 이상 주변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야 한다. 만약 성과가 기대에 미치.. 2025. 6. 25.
[역사/중동] 강대국이 그린 국경, 중동 중동과 관련하여 헷갈리는 용어가 아랍·무슬림·이슬람인데, 이는 명확히 구분되는 개념이다. 아랍(Arab)은 아랍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으로, 주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에 거주한다. 종교가 아닌 언어·문화·민족적 개념이기에, 아랍인이라도 다양한 종교(무슬림·기독교·유대교)를 가질 수 있다. 아랍어 이슬람(Islam, 복종·순종)은 알라(유일신)에게 복종하는 종교로, 꾸란(Quran)을 경전으로 삼고, 무함마드(Muhammad)를 마지막 예언자로 믿는다. 아랍어 무슬림(Muslim, 복종하는 사람)은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으로, 무슬림 중에는 아랍인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겠지만, 아랍인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슬람교은 다음 5개의 기둥을 핵심으로 한다. 신앙고백(샤하다) : 알라 외의 신은 없고, 무함마드는.. 2025. 6. 20.
[국제/중동] 정밀타격으로 위기를 맞은, 이란 미국은 46년 전(1979년) 잃어버린 중동의 사냥개(이란)를 다시 찾으려고 작정한 모양이다. 그것도 또 하나의 사냥개(이스라엘)를 이용하여. 2025년 6월 13일 이스라엘은 Operation Rising Lion 작전명 하에 이란을 대규모 기습공습을 감행했다. IDF(이스라엘 방위군)은 100여 개의 표적(핵시설, 탄도미사일 공장, 기타 군사시설 등)을 공격하기 위해 2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띄웠고, 총 330개 이상의 정밀탄을 투하하는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이전 글 미대선에 베팅하는 캠페이너, 중동>에서는 2024년 4월 이스라엘이 이란영사관(시리아 주재)를 미사일로 공격했는데, 이는 이스라엘이 이란을 미사일로 직접 공격한 사례라고 언급했었다. 그로부터 1년 남짓 지난 시점에서 이란 본토를 직접 .. 2025. 6.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