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70

[AI] 끊임없는 투자, 하이퍼스케일러 2016년 알파고의 등장으로 AI가 주목받기 시작했지만, 특정 용도로만 사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7년이 지난 2023년, OpenAI가 챗GPT를 출시하면서 AI를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비지니스 모델이 B2B 중심의 AI서비스에서 B2C로 확장되었고, 실제 전 세계 소비자들이 유료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후 하이퍼스케일러들은 자체 AI 알고리즘 모델을 개발하여, B2B고객을 대상으로 한 다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었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IT인프라 서비스) :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 등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서비스) : 개발환경 SaaS(소프트웨어 서비스) :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웹 서비스 .. 2025. 11. 11.
[AI] 선물폭탄을 던지고 간, 엔비디아 2025년 10월 마지막날, 회사 근처 깐부치킨에서 팀원들과 치맥을 했다. 그 날은 하루종일 깐부치킨이 이슈였는데, 이유는 그 전날 젠슨 황(엔비디아 CEO)은 깐부치킨(서울 삼성동)에서 이재용·정의선과 함께 치킨·소맥을 즐겼던 것이다. 그들이 가게의 창가자리에 앉아 함께 하는 모습은 실시간으로 전 세계에 송출되었는데, 미래에 이들의 만남이 어떤 의미로 역사에 남을지 궁금하다. 깐부회동은 한국의 정부·기업이 엔비디아 GPU 26만장(14조원 가량)을 다음과 같이 확보하기에 앞서 기획되었고, 한국 AI산업 구도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 : 5만장네이버 클라우드 : 6만장삼성전자 : 5만장현대차 : 5만장SK : 5만장한국은 2030년까지 GPU 30만장을 확보하면, 글로벌 3위.. 2025. 11. 2.
[국제] 정상회담에서 거론되는, 펜타닐 2025년 10월 30일 트럼프는 시징핑와 가진 6년 만의 정상회담에서 예상되었던 합의에 도달했는데, 사실상 1년 짜리 무역전쟁 휴전에 가깝다. 미국은 중국에 부과했던 펜타닐 관세를 10%p(20%→10%) 인하함과 동시에,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대두) 구매를 즉시 재개하며 논란이 되었던 희토류의 공급을 1년 간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2025년 초 트럼프는 펜타닐과 관련하여 관세 20%를 부과했었다. 2022년 8월 펠로시(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중국정부는 펜타닐 원료 단속과 관련된 모든 대화창구를 닫으면서, 펜타닐을 지렛대 삼아 미국을 압박해었다. 2023년 11월 개최된 미중 정상회담(바이든-시징핑)에서 바이든은 펜타닐 원료를 제조하는 중국 화학업체들을 중국정부가 직접 단속해줄 것을 요청.. 2025. 10. 31.
[기술] 양자우위를 이어가는, 구글 최근까지 양자컴퓨터 큐비트는 초전도·이온트랩 방식이 주류이다. 기타 큐비트 개발플랫폼으로는 광자·중성원자·전자스핀 등이 있는데, 아직 확실한 우위를 점하는 플랫폼은 없다. 현재 글로벌 빅테크들이 앞다퉈 양자컴퓨터 칩을 선보이고 있는 중이다. 초전도 방식은 기존 반도체에서도 쓰이는 초전도 회로를 활용하는데, 거대한 냉각장치를 연결해 극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2024년 말 구글이 발표한 윌로우(Willow)는 초전도 방식의 오류를 대폭 개선한 양자칩(105개 큐비트)으로, 초전도 트랜스몬 큐비트를 기반으로 했다. 큐비트 간 평균 3.47개의 연결성을 가진 정사각형 격자 구조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고도화된 양자오류 수정과 우수한 결맞음 시간(T1)이 결합되면서 기존의 양자칩 보다 5배 가량 향상된 안정성.. 2025.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