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도시73

[역사/민족] 한때 한반도 외교를 이끈, 위구르 신장위구르인들이 중국 한족에 저항한 역사는 짧지 않으며, 특히 2010년대 들어 시진핑 집권기에 신장위구르에 대한 탄압의 강도가 더 세지고 있다. 이는 2014년 4월 시진핑이 우루무치를 방문했을 당시 발생한 기차역 폭탄테러가 도화선이 되었다. 이후 중국정부는 대규모 강제집단수용소를 운영하며 제노사이드 수준의 인권탄압(감금·고문·강제혼인·윤간·강제불임·장기적출·언어말살·이슬람배척 등)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주장이 많다. 또한 집단수용소에 감금된 위구르인들은 공산당 세뇌교육을 받으며, 그 집단수용소 인근에 위치한 직물공장에서 강제노동에 동원되고 있다는 것이다.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서방에서는 이에 대한 제재를 통해 신장산 면화사용 규제에 들어갔다. 2021년 12월 미국 바이든.. 2024. 9. 22.
[역사/일본] 근대화가 매료시킨, 입맛 어릴 적 이모부가 동네 경양식 레스토랑에 우리 가족을 초대한 적이 있는데, 1980년대 후반 국민학교 4학년 정도로 기억된다. 도시락에 들어가는 인스턴트 작은 돈가스는 먹어 봤지만, 레스토랑의 큰 돈가스는 처음이었다. 당시에는 음식에 대한 이해도 없이 그냥 돈까스라 불렀었는데, 포크·나이프·냅킨·스프가 그렇게 낯설어 보일 수가 없었다. 군생활의 급식메뉴는 거의 정형화되어 있는데, 아주 가끔 나왔던 치킨·햄을 제외한 나머지의 메뉴는 인기가 없는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없는 메뉴가 카레·된장국이었는데, 특히 된장국은 똥국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었다. 개인적으로도 밍밍한 된장국은 남기는 경우가 많았지만, 카레는 사회의 맛과 큰 차이가 없어서 먹을만 했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서울 오피스 밀집지.. 2024. 8. 21.
[기업] 포목에서 중공업으로, 두산 1996년 전략컨설팅펌 맥킨지(McKinsey)의 컨설팅을 받은 두산은 소비재 위주에서 중장비·발전소 중심으로의 사업 포트폴리오의 전환을 했는데, 이 과정에서 OB맥주·코카콜라·버거킹·KFC·한국네슬레·한국3M 등을 매각하였다. 그 매각자금으로 한국중공업(훗날 두산중공업, 현 두산에너빌리티)과 대우종합기계(훗날 두산인프라코어, 현 HD현대인프라코어), 밥캣을 인수할 것을 조언했으며, 두산은 이를 실행했다. 컨설팅 당시 4조원대였던 매출이 12년이 지난 2008년에는 약 24조원까지 상승하였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북미·중국 건설기계시장이 침체되면서 두산그룹은 위기를 맞았지만, OB맥주는 지속적인 매출성장세를 이어갔다. 두산그룹의 밥켓 인수는 오랫동안 안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었지만, 역시.. 2024. 7. 13.
[역사/서울] 경성에 신세계를 연, 미쓰코시 2024년 드라마 눈물의 여왕에서 홍해인(김지원 분)은 매출 1조원 달성을 슬로건처럼 말하고 다닌다. 실제 2023년 말 기준으로 매출 1조원을 넘긴 국내 백화점 점포는 12개이며, 드라마에서 퀸즈백화점 촬영장소였던 더현대백화점이 매출 1.1조로 딱 12위였다. 상위 12개 점포의 매출은 다음과 같은데, 그룹별로는 신세계백화점 4개, 현대백화점 4개, 롯데백화점 3개, 갤러리아백화점 1개이다. 신세계 강남 : 3.06조원롯데 잠실 : 2.75롯데 본점 : 2.01신세계 센텀시티 : 2.00현대 판교 : 1.66신세계 대구 : 1.49현대 무역 : 1.26롯데 부산본점 : 1.20현대 본점 : 1.18신세계 본점 : 1.14갤러리아 명품관 : 1.14더현대 서울 : 1.10 일제강점기 경성의 상권은 청계천.. 2024.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