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도시68

[역사/중국] 정치력을 행사하는 비정치인, 벌(閥) 많은 뉴스·드라마에서는 재벌이 주인공으로 다뤄지곤 한다. 재벌이라는 표현은 상용화되었지만, 지금까지 누구도 재벌의 제대로 된 정의를 알려준 적이 없었다. 자주 하는 말 중에 학벌이 좋다는 표현도 관용적으로 학력만 우수하다고만 이해하지, 그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다. 하지만 우리는 말끝에 벌(閥)이 붙는 단어를 의외로 많이 자주 사용하고 있다. 뭔가를 가득 쥐고 있는 가문, 벌 벌(閥)은 전리품들을 집 안에 쌓아놓은 가문(세도가)을 의미하는데, 문(門, 가문) 안에 벌(伐, 정벌)이 들어있는 형국이다. 고려시대부터 사용된 문벌(門閥)·벌열(閥閱)은 그 집안에서 대대로 이어지는 사회적 신분·지위를 의미했는데,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신하의 공을 등급으로 표시한 표지를 집대문 양편(왼편 .. 2024. 5. 30.
[역사/유럽] 로마를 휩쓸고 급히 퇴장한, 훈족 서양인들이 가장 두려워 하는 역사인물로 흔히들 5세기 훈족의 마지막 왕 아틸라가 거론되는데, 대략 16세기 전의 한 인물이 여러 후세들에 걸쳐 잔혹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훈족은 중앙아시아 초원지대를 근거지로 성장한 유목민족으로 이전 글 점점 가난해지는 유럽, 게르만 후예들>에서 언급한 게르만족의 대이동을 일으킴은 물론, 동쪽으로는 중국을 위협했다. 서쪽의 훈족과 동쪽의 흉노족의 유전자가 같다는 연구조사도 있는데, 오늘은 훈족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동쪽에서 뺨 맞고 서쪽에 화풀이 한, 게르만족 2세기 중앙아시아에서 서진하기 시작한 훈족은 360년 경 볼가강을 건너서 최초로 유럽을 밟으면서 알란족(페르시아계 유목민)을 공격한다. 375년 동고트족이 거주하는 드네프르강 유역까지 진출했는데.. 2024. 5. 19.
점점 가난해지는 유럽, 게르만 후예들 오랜 부흥 끝에 점차 가난해지는, 유럽메소포타미아 관점에서 구분된 동서, 아시아와 유럽생존을 위해 로마제국 스며든, 게르만족훈족의 서진이 몰고 온 도미노, 게르만족 대이동로마카톡릭을 수용하면서 오랜 간, 프랑크족[Shorts] https://www.youtube.com/shorts/ivzJVEwpu9s 2023년 7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유럽인들이 지난 수 십년 동안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경제양상을 마주하고 있다"는 보도를 했는데, 이는 유럽이 점점 가난해지고 있다는 의미였다. 프랑스에서는 레드와인·푸아그라를 덜 먹고, 스페인은 올리브오일을 아낀다고 한다. 그 외의 유럽국가에서도 임금인상이 물가상승을 따라오지 못하자, 소비를 축소하면서 저렴한 물건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문제는 소비축소.. 2024. 5. 13.
[역사/인물] 동학사상을 아이다움으로 실천한, 방정환 수 많은 위인전들은 소파(小波, 잔잔한 물결) 방정환을 다루고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린이날을 만들었다는 사실 외에는 기억하는 것이 없을 것이다. 방정환은 열정있고 유능한 언론경영인(편집자·비평가·카피라이터·이벤트기획가)이자 교육자였으나, 평생 어린이만을 위했다는 부르주아 아동문학가의 이미지로 인해 북한에서는 오랫 동안 친일인사로 분류되었다고 한다. 그도 그럴것이 일제강점기·해방공간은 반목된 이데올로기(민족주의·공산주의)에 휩싸인 시대였다. 방정환은 원래는 없던 어린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는데, 젊은이(청년·중년)와 늙은이(장년·노년)과 독자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자는 것이었다. 아이의 인권가 보장되지 않던 전통시대의 시각에서 보면 상당히 혁신적인 주장이었다. 훈민정음을 첫 구절 '어린 백성'에서의 어린.. 2024. 5.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