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도시59 조선내내 왕가의 공간, 서울공예박물관 터 안국역에서 1번 출구로 나오게 되면 안국빌딩이 위치하는데, 안국동사거리에서 북쪽으로 뻗은 율곡로 3길(감고당길)은 예전부터 운치를 즐길 수 있는 여유로운 공간이라 자주 즐겨찾는다. 감고당길 초입의 오른편에는 10여년 전에는 풍문여고가 있었고 왼쪽에는 약 4m 높이의 담장이 서있었지만, 지금은 두 곳 모두 완전히 다른 공간으로 변신했다. 우선 오른편의 풍문여고 자리는 학교건물 5개를 리모델링 한 후, 2021년 11월 29일 서울공예박물관이 개장했다. 왼쪽 담장도 2022년 10월 7일 열린송현 녹지광장이 개방되면서 1.2m 높이의 돌담으로 낮아졌다. 여기서는 오른편의 공간이 조선시대 왕가의 공간에서 현재의 박물관으로 변해온 공간의 변천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전 글 조선 2인자의 픽, 정도전 집터>이전 글.. 2023. 3. 25. 여러모로 권력을 노렸던 공간, 헌법재판소 터 안국역사거리에서 북쪽으로 걷다보면, 왼편에 헌법재판소가 위치한다. 헌법재판소의 뒷담 너머로는 윤보선 전 대통령의 99칸 대저택이 보이고, 계속 걷다보면 가회동·삼청동으로 길이 이어진다. 대학시절 젊은 기운과 호기심에 서울 곳곳을 많이도 걸어 다녔다. 덕수궁 근처 정동과 경복궁 근처 삼청동은 지방 출신의 이방인에게 큰 안식처가 되어 주었다. 근데 전통적인 공간으로 생각했던 곳에서 다소 이질적인 건축이 몇 개 있었는데, 다음 2개 건물이 대표적이다. 덕수궁 석조전안국역 헌법재판소 웅장한 서양식의 건축물로 주변의 서사와는 어울리지 않아 보였기 때문이다. 물론 그 건축물이 안고 있는 역사를 알고 난 지금이야, 현재를 살아가는 나로 하여금 그 공간이 지닌 험난했던 과거를 상기시키게 해줄 뿐 아니라 많은 교훈과 평.. 2023. 3. 19. 특권층 의리의 시대, 세도 어느 시대에나 있어 왔던, 특권층전근대시대에서 크게 작용한 인적네트워크, 가문세상 가운데의 도리가 아닌 세력의 남발, 세도정조가 죽은 후의 권력독점, 경주김씨·안동김씨·풍양조씨오늘날 우리사회에도 여전히 잔존하는, 세도정치[Shorts] https://www.youtube.com/shorts/DTISlAzEmcY 어느 시대나 특권층의 행태가 사회 이슈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전 글 더글로리에서 날로 진화하는, 학교폭력>에서 소개된 정 변호사의 아들이 과거에 한 발언이 회자된 적이 있다. 고등학생 시절 검사 아버지를 자랑하면서 친구들에게 「검사는 뇌물받는 직업」이라고 한 말인데, 이는 전근대 특권층의 사고와 매우 유사하다. 공정 속에서 발견되는 능력을 자랑하기 보다는,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목적하는 바를.. 2023. 3. 15. 대통령이 친히 언급한, 르 코르뷔지에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르 코르뷔지에를 언급한 부분에 관한 기사가 있었다. 이전 글 한국인을 호화유람선에서 살게한, 르 코르뷔지에>에서 다뤘던 내용들이 있어 이를 소개한다. "연설문을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물처럼 만들어 달라"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3·1절 기념사를 준비하면서 연설문을 담당하는 참모에게 이같이 주문했다고 한다. '현대 건축의 아버지'로 불리는 르 코르뷔지에는 대규모 공동주택(현대식 아파트) 개념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의 대표적 건축양식인 필로티는 1층을 비우고 벽면 없이 기둥으로 네모반듯한 콘크리트 덩어리의하중을 지지한다.대통령실 관계자는 "글에 불필요한 장식물을 떼어내고 논리적 구성을 더 하라는뜻"이라며 "윤 대통령은 누군가의 말이 중언부언하는 것을 싫어한다"고 했다. 연설의 목적에 따른 .. 2023. 3. 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