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도시66 호화로운 풍류에서 시작된, 순화궁 터 왕가 여식의 거처, 그 곳에서 태어난 인조안동김씨 후궁의 궁호를 딴 이문안대신댁, 순화궁친일파 의붓형제의 저택, 이윤용·이완용고급요정을 거쳐, 여성교육과 복지의 상징[Shorts] https://www.youtube.com/shorts/JvVpiN6Sln4 명월관과 태화관은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 이전 글 조선 기생과 일본 접대가 만나서, 요정>에서는 세종대로 사거리 남동쪽(현 동아일보 사옥 터)에 2층 양옥 형태로 문을 연 명월관은 수라에나 오르던 궁궐음식을 일반에게 제공했었다고 언급했다. 태화관은 명월관과 연관이 있는데, 태화(泰和)라는 이름의 유래는 조선초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현재는 태화빌딩이 위치한 인사동 부지는 과거 왕가·세도가의 고급주택 부지로 역할을 하였고, 근대에 와서는 친일파의 .. 2023. 4. 5. [역사/현대] 소외받다가 초토화된, 4.3 역사를 다룰 때 신경쓰이는 부분이 있는데, 특정사건에 대해서 정치진영의 논리가 개입됨으로써 흑백선전으로 비화되는 경우이다. 특히 많은 기억·기록이 남아 있는 근현대사에서 이런 경향이 짙다.가장 먼 유배지, 제주 제주도는 한성으로부터 약 3,000리길 거리의 섬으로, 조선시대 가장 먼 유배지였다. 제주도로 이동하는 과정도 여기저기 돌아가는 고된 여정이었기에, 제주도 유배지까지 가보지도 못하고 죽은 이들도 많았다고 한다. 이러한 연유로 제주도 유배는 거물급 죄인들을 주로 보냈다. 폐위된 광해군은 18년 동안 유배생활을 하다가 생을 마감했는데, 강화도에서 14년을 지내다가 남은 4년은 제주도에서 살다가 쓸쓸한 죽음을 맞이했다. 안동김씨와의 정쟁에서 탄핵을 당한 김정희도 제주도 유배생활을 약 9년간 했으며, 1.. 2023. 4. 1. 조선 기생과 일본 접대가 만나서, 요정 개인적으로 음주를 즐기고 역사에도 관심이 많다 보니, 자연스럽게 술집의 역사에 대한 흥미가 생겼다. 하지만 술집의 기원과 변천사에 대해 정리를 하다보니, 그 내용이 시대별·지역별로 워낙 방대하여 도저히 한번에 정리하기가 어렵다. 오늘은 조선의 근대화와 함께 이 땅에 정착한 술집에 대해서 일단 해보자. 임진왜란을 앞두고 위안을 제공한, 일본 화류계 1589년(임진왜란 3년 전) 교토는 남초현상으로 노총각이 증가하고 있었는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교토에 유곽을 짓도록 명령하였다. 일본 공창제의 시작이다. 임진왜란을 앞두고 교토의 유곽은 나가사키로 이전되었는데, 이는 전쟁을 앞두고 병사들의 성욕를 해소시켜 사기를 증진시키려는 의도였다. 워낙 많은 꽃과 버드나무가 있는 나가사키의 유곽이 꽃과.. 2023. 3. 29. [역사/조선] 조선내내 왕가의 공간, 서울공예박물관 터 안국역에서 1번 출구로 나오게 되면 안국빌딩이 위치하는데, 안국동사거리에서 북쪽으로 뻗은 율곡로 3길(감고당길)은 예전부터 운치를 즐길 수 있는 여유로운 공간이라 자주 즐겨찾는다. 감고당길 초입의 오른편에는 10여년 전에는 풍문여고가 있었고 왼쪽에는 약 4m 높이의 담장이 서있었지만, 지금은 두 곳 모두 완전히 다른 공간으로 변신했다. 우선 오른편의 풍문여고 자리는 학교건물 5개를 리모델링 한 후, 2021년 11월 29일 서울공예박물관이 개장했다. 왼쪽 담장도 2022년 10월 7일 열린송현 녹지광장이 개방되면서 1.2m 높이의 돌담으로 낮아졌다. 여기서는 오른편의 공간이 조선시대 왕가의 공간에서 현재의 박물관으로 변해온 공간의 변천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전 글 조선 2인자의 픽, 정도전 집터>이전 글.. 2023. 3. 2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