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금융투자89 [부동산] 또 다시 시작될지 모를, 규제폭탄 오늘날 부동산시장 참가자들은 과잉정보를 얻고 있는데, 거짓된 선동성 정보와 정확하고 유익한 정보가 마구 섞여 있다. 합리적인 인간들은 과잉정보 속에서 자기 만의 학습을 통해 빠른 판세분석력과 판단력을 키우게 된다. 한 마디로 정보에서 금맥을 찾는 세상이다. 2025년 6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년 4개월(2023.1월~2025.4월) 동안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다음과 같았다. 서울 : +16.1%수도권 : +9.6%비수도권 : △1.7%동 기간 수도권의 거래량은 장기평균을 상회한 반면, 비수도권의 거래량은 장기평균을 밑돌았다. 강남 일부 아파트가격의 상승률이 연 +30% 수준(주간 +0.7%)이라는 우려 섞인 강조도 빠트리지 않았다. 외지인의 서울주택 매입비중은 매매가격지수와 1.. 2025. 6. 27. [기업] SK계열이 아닌, SK증권 2024년 12월 SKS PE가 동양시스템즈(구 동양네트웍스 IT부문)에 투자한 100억원을 회수하지 못할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는데, 동양시스템즈가 회생기업 M&A의 매물로 나오면서 구주가 소각될 가능성이 높아졌던 것이다. 1991년 동양그룹은 동양네트워크(IT전문)를 설립했다. 2020년 동양네트워크는 물적분할을 통해 동양시스템즈(IT부문)를 신설한 후, 최장림(1세대 벤처창업가)에게 매각했다. 이후 수익성이 저조한 국내 SI(시스템통합) 분야에서 벗어나려는 다각화를 시도했으며, 특히 해운IT사업에서 두각을 보였었다. 2022년 10월 SKS PE의 펀드는 동양시스템즈가 발행한 RCPS(100억원 규모)를 인수했는데, 성장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이전 글 자본 행세하는 부채, 신종자본증권>에서.. 2025. 5. 7. [기업] 잊혀진 것을 되살린, 부창제과 부창제과가 배우 이장우를 모델로 한 마케팅과 성심당 전략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2024년 10월 부창제과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스위트파크(B1)에 1호점을 오픈할 당시 엄청난 인파가 몰리면서 유명세를 치렀는데, 오픈시간 2시간 전부터 줄을 서기 시작하여 대기시간이 약 4시간을 넘었었다. 준비한 물량은 단 3시간 만에 모두 소진되었다. 이후 부창제과의 입점현황은 다음과 같다. 2호점(신세계백화점 대구점) : 2024년 12월3호점(스타필드 수원점) : 2025년 2월4호점(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 2025년 3월5호점(신세계백화점 대전점) : 2025년 4월대구 2호점에서는 백화점 내 명품브랜드의 매출을 뛰어 넘은데 이어, 부산 4호점에서도 엄청난 매출을 보였다. 2025년 5월 부창제과 4호점(.. 2025. 5. 6. [부동산/금융] 관리비 부담이 가중된, 신탁사 현행 신탁법(2012. 7. 26. 시행)이 적용되는 집합건물에 관한 담보신탁 사안에서, 위탁자가 관리비 납부의무를 부담한다는 신탁계약내용이 신탁원부에 기재된 경우, 수탁자가 이로써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가 대법원에서 정리되었다. 2025년 2월 집합건물 관리단(원고)이 위탁자(피고A, 시행사)와 신탁사(피고B)를 상대로 낸 관리비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심(원고패소)을 파기하였고, 신탁사가 관리비를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책준관토 손해배상소송 1심 판결을 앞두고 있는 신탁사 입장에서는 꽤나 불리한 변화가 나타난 것이다. 수탁자의 최강 권리, 비용상환청구권수탁자는 제3자에 대하여 신탁재산에 관한 조세·공과(공과) 및 기타 신탁사무처리비용은 부담하는 바, 신탁재산·고유재산으로 변제하게.. 2025. 4. 2. 이전 1 ··· 3 4 5 6 7 8 9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