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금융투자68

가계자산의 한 축, 금융자산 [Music] 붕괴의 초읽기https://www.youtube.com/watch?v=SRdAO2sygX0Countdown to Collapse #붕괴의 초읽기나라경제를 평가하는 지표로써 가계부채를 문제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각 나라·단체마다 기준으로 삼는 가계부채가 다르기 때문이다. 모든 국가의 가계부채는 주로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하고 있는데, 문제는 한번 증가한 가계부채를 줄이는 디레버리지(deleverage) 과정에서는 주택가격의 하락이 동반된다는 것이다. 부동산자산의 비중이 큰 국가들은 거품붕괴 수준의 부동산가격 급락이 올 경우, 국가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금융자산의 비중이 큰 국가일수록, 부동산가격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금융자산으로 버텨낼 체력이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2024. 12. 26.
부실낙인의 점잖은 표현, 시정조치 2024년 11월 27일 오전 금융위원회(금융위)는 정례회의를 열고 무궁화신탁에 경영개선명령을 내렸는데, 금융회사에 내릴 수 있는 적기시정조치 중에서 가장 높은 수위의 조치다. 아마도 부동산신탁업계에서는 초유의 사태라서, 이후의 진행경과·후폭풍에 대해서 주목하는 이들이 많다. 무궁화신탁은 9월말 기준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을 125%로 공시하였으나, 금융감독원은 현장검사 결과 69%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무궁화신탁은 2025년 1월 24일까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자체 정상화 추진(유상증자, 자회사 정리 등)인수·합병 계획 수립·이행(금융지주사 자회사 편입 포함)영업용순자본 감소행위 제한신규 6개월 영업정지(차입형·책임준공형 토지신탁)  금융위 사무처장의.. 2024. 11. 28.
[부동산/아파트] 점점 존재감 잃어가는, 입주장 서울주택시장을 10년 이상 꾸준히 지켜봐 왔다면, 과거 대단지 아파트의 입주를 앞두고 입주장 효과라는 것을 보아 왔을 것이다. 대단지 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전·월세 매물이 급증하면서 주변의 전세가격 매매가격이 내려가는 현상을 말하는데, 학습효과로 입주 전에 가격조정을 기대하는 수요가 존재해 왔다. 이는 입주 전 중도금·잔금마련을 위해 분양권·입주권이 대량으로 풀렸기 때문이다. 보통은 전세보증금만으로 중도금·잔금을 완납하기 어렵다. 개인적으로 취업 첫해였던 2007년 잠실 엘리트가 뚜렷하게 기억에 남아 있다. 불황에 닥친 물량폭탄, 엘리트 2000년대 들어 주택시장 호황이 이어지면서 정비사업이 박차를 가했는데, 문제는 입주시기였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출회된 대량의 입주물량은 전세가격·매매가격가 대폭.. 2024. 11. 16.
[정치/국제] 미대선에 베팅하는 캠페이너, 중동 이슬람사회 율법에는 당한 만큼 돌려주는 형벌원칙이 있는데, 바로 키사스(Qisas) 원칙이다. 이는 BC 18세기 함무라비(고대 바빌로니아 왕) 법전에서 출발하였는데,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고수되고 있는 처벌방식 중의 하나이다. 이란은 지금까지 키사스에 기반하여 강력한 복수를 수 없이 천명했지만, 적당한 선을 지키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키사스 자체가 비례원칙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4년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난 1년 간 이스라엘은 이란을 자극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과연 이스라엘의 국익만을 위하려 했던 것인지는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스라엘이 초토화시킨, 하마스 2024년 8월 하니예(Haniyeh, 하마스 최고지도자)가 이스라엘에 의해 사살된 .. 2024.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