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45

[투자] 비상장사의 효율적 선택, 역인수합병 2025년 9월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 자회사)와 두나무(가상자산거래소 운영사)가 신규법인을 통한 지분스왑을 추진 중이라는 말이 나오면서, 우회상장과 역인수합병이 부각되고 있다.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선후배(이해진·송치형)가 이끄는 거대기업들 간의 일반적이지 않은 기업결합이 그 배경에 대한 궁금증을 더하고 있다. 두나무는 IPO를 목표로 달리고 있는 기업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졌지만, 네이버(자회사 포함)의 지배구조는 두나무와의 주식스왑으로 인해 크게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우회상장(Backdoor Listing)은 비상장사가 상장사을 인수·합병하는 방식으로, 이 때 상장사를 쉘컴퍼니(shell company, 껍데기회사)라고 한다. 우회상장은 직상장(IPO, 기업공개)를 우회하면서, 신속하고 비용효율적으로.. 2025. 10. 3.
[경제] 정치적으로 기획되는, 하이퍼인플레이션 독일·베네수엘라·짐바브웨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은 것으로 유명하다. 이전 글 가격과는 차원이 다른, 물가>에서는 필립 케이건(Philip Cagan)의 저서 하이퍼인플레이션의 화폐 역학(The Monetary Dynamics of Hyperinflation)에서 하이퍼인플레이션(초인플레이션)의 정의가 나온다고 언급했었는데, 재화·서비스의 가격이 1달 내에 50% 이상 오를 때이다. 50% 이상의 가격상승이 지속적으로 진행될수록,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추세성으로 인해 장기화된다. 짧게는 몇 시간에서 길게는 수 일 내에 재화·서비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통화가치와 소비자신뢰도가 급락한다. 종국에는 기업파산으로 인해 실업률 증가와 세수 감소가 일어난다. 이전 글 모른다지만 알고 있는, 몬테네그로>에서는 전쟁지역에서.. 2025. 10. 2.
[기업] 시대흐름을 읽지 못한, 미국 델몬트 델몬트 그룹은 델몬트 퍼시픽(DMPL, Del Monte Pacific Limited)을 모회사로 하고 있으며, DMPL은 싱가포르와 필리핀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DMPL은 글로벌 자회사들(생산·유통·투자·경영지원 등)을 두고 있는데, 그 중 미국 자회사가 델몬트 푸즈(DMFI, Del Monte Foods Inc.)이다. 2025년 7월 DMFI가 챕터11 절차에 들어 갔는데, 1886년 샌프란시스코(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창립된 지 139년 만이다. 이전 글 본색을 드러내고 있는, PEF>에서 2017년 PE들이 토이저러스를 인수한 지 13년 만에 챕터11(파산보호신청) 절차에 들어갔으며, 챕터11은 한국의 기업회생과 비슷한 제도라고 언급했었다. 미국 연방파산법(Chapter 11)은 법원의 감독 .. 2025. 10. 1.
[부동산] 유예 막바지에 선, 생숙 2024년 8월 롯데캐슬 르웨스트(876실, 강서구 마곡동)가 준공을 앞두고, 용도변경(생숙→오피스텔)이 결정되었다. 이는 서울 소재 생활형숙박시설(생숙·Serviced Residence) 중에서 최초의 사례로, 강한 민원이 몰아친 강서구가 서울시에 건의함에 따라 이뤄졌다고 한다. 이전 글 코엑스에서 시작된, 국내 마이스>에서는 마곡 특별계획구역을 언급하면서, 주거시설이 있는 2개 구역(CP2, CP3-1) 중 CP2가 오피스텔이라고 언급했었다. 하지만 원래 인허가 받은 용도는 생활형 숙박시설이었다. 2021년 평균 경쟁률 657대 1이었고, 분양가는 최고 16.1억원(전용 84㎡)이었다. 생숙은 주택수에 해당되지 않았으며, 청약통장도 필요 없었다. 즉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었기에, 주거대체상품으로 인기가.. 2025. 9.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