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39 [건강] 본능적으로 중독되는, 러닝 유산소운동으로 분해된 지방은 액상(땀·오줌)으로 배출될 것이라는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출렁이면서 그립감 있는 뱃살은 대부분 호흡을 통해서 인체 밖으로 배출된다. 포도당이 부족하여 지방세포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아드레날린·글루카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전 글 풍요의 산물, 비만치료제>에서 글루카곤(glucagon)은 췌장의 알파세포에서 생산되는 펩티드호르몬으로,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합성되는 인슐린과는 반대작용을 한다고 언급했었다. 분해된 지방은 지방산·글리세롤의 형태로 혈류로 방출되고, 혈액 속의 지방산은 근육세포로 이동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이전 글 생각보다 많아야 하는, 위산>에서 지방(Triglycerides)은 3개의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된 것이라고.. 2025. 6. 10. [건강] 위산에 패인, 위궤양 개인적으로도 매년 건강검진(건진)을 받지만, 10년치 이상의 데이터가 건진결과보고서에만 쌓여 있을 뿐이라는 무용성을 느끼곤 한다. 혼자 엑실파일로 추이를 지켜보는 것도 한계가 있으며, 특히 주의사항에 대한 상투적인 의견(N개월 후 추적관찰)은 괜한 안심만 심어주는 것이 아닐까라는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동네병원을 1군데를 지정해서, 주치의와 함께 개인적인 의료데이터를 쌓아나갈 차이다. 흔히 건강나이는 40살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40살까지는 몸이 왠만한 질병을 막아준다는 의미이다. 40살 이후부터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과거의 생활습관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가장 어려운 부분이 식습관·음주·흡연이다. 어느 날 갑자기 상복부(명치 바로 아래)에 쓰리고 타는듯한 통증이 엄습한다면, 근처 병원에서 위내.. 2025. 4. 29. [건강] 시대에 따라 다른 평가, 비만 현대사회에서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1960년대 보릿고개가 사라지기 전만 하더라도, 비만이 아닌 영양실조가 걱정이었다. 보릿고개는 지난 가을에 수확한 곡물이 소진된 후 당해 봄에 뿌린 보리가 여물지 않은 초여름(5∼6월) 시기를 의미하는데, 추수 수확물에서 비용(소작료·세금·이자 등)을 지불한 농민들이 초여름까지 버티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이 시기 굶주림에 지친 농민들은 산나물·풀뿌리·나무껍질로 끼니를 때우는 것이 일상이었고, 한국인이 독성이 있는 산나물을 즐기는 역사적 배경이다. 1960년대 이후 벼품종 개량과 비료·농약 공급을 확대하면서 식량의 자급자족이 가능해졌고, 이후 보릿고개는 사라졌다. 사실 보릿고개가 사라지기 전만 하더라도, 비만은 풍요의 상징이었다. 조.. 2025. 2. 19. [건강/암] 유방암을 키우는 수용체, HER2 왠지 글래머러스한 여성이 유방암에 취약할 것이라는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동양여성들은 가슴 사이즈가 작음에도, 불규칙하고 치밀한 유방이 많은 편이라 유방암의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한국여성도 70% 가량이 치밀유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오늘은 유방암의 아형 중 하나인 허투(HER2)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실질조직이 과한, 치밀유방 유방조직은 다음의 2개로 구분된다. 실질조직 : 유선·유관 등지방조직 유방촬영술(X선)에서는 실질조직의 비중에 따라 4단계의 구분을 하는데, 이 중 치밀유방은 실질조직이 각각 50%·75%를 초과하는 3~4단계를 말한다. 치밀(緻密)은 빽빽하다는 의미의 두 한자어가 합쳐진 만큼, 치밀유방은 유즙(젖)을 생산하는 유선조직량이 많고 촘촘한 반면,.. 2024. 12. 4. 이전 1 2 3 4 5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