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은 스윙 내내 코킹을 해야 하는데, 코킹의 모습은 스윙 단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보인다.
어드레스에서의 코킹 : 커핑
탑에서의 코킹 : 보잉
엄밀히 말해서, 탑에서의 코킹은 보잉처럼 보일 뿐이다. 당사자 입장에서는 코킹이 풀리 않도록, 왼손 엄지·검지에 힘을 엄청 주려고 애쓰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아마추어는 백스윙탑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코킹이 풀리면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언코킹은 백스윙탑에서의 왼손목 보잉 범위를 확대시킬 것이며, 이로 인해 샤프트는 요구되는 궤도보다 낮게 넘어 가게 된다. 쉽게 말해 오버스윙이다.
왼손 엄지·검지에 힘을 주면서 왼손뭉치를 헤머처럼 느껴야 하며, 이후 명치에 매달은 궤종은 왼발을 딛음으로써 위로(뒤가 아님) 던진다는 느낌으로 돌아야 한다. 왼발로 들어 올린 헤머(클럽)을 머리 위로 보내는 원동력은 오른팔꿈치이다. 오른팔 자체를 들어 올리기 보다는, 오른팔꿈치를 펼친다는 생각을 해야만 궤도의 폭(깊이)이 커진다. 이 때 오른손 그립은 중지·약지 손가락으로만 잡는 것이 탄력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전 글 <쉬워 보이지만 쉽지 않은, 골프>에서 깊이 없이 높이·너비로만 하는 스윙은 팔로만 휘두르는 스윙이라 했다.
견갑을 쪼개어 버티는, 전환
많은 레슨가들은 전환동작 내내 타겟을 등지라고 조언하지만, 대부분의 아마추어는 여지없이 전환과 함께 등(어깨)이 돌아가게 된다. 전환동작에서 등(어깨)가 아닌 팔만 우선적으로 내려야 이유는 사프트가 어깨 앞으로 내려올 때까지 기다려주기 위함이다. 가치투자자는 모멘텀을 쫓기 보다는 남들이 모르는 종목을 미리 발굴·보유한 후 기다리며, 이후 시장의 주목을 받으면 엑시트를 통해 큰 수익을 향유한다. 기다림의 미학은 투자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골프스윙도 정점에서 팔을 내리면서 몸의 힘을 쓰지 않는 것은 어렵지만, 연습을 통해서 일단 팔만 내려놔야지만 양팔과 사프트의 얼라이먼트가 맞춰지면서 정타가 가능하다.
팔을 내리는 동작은 흔히 수직낙하라고 표현한다. 많은 연습이 동반되지 않으면, 절대 넘을 수 없는 영역이다. 일단 백스윙탑에서 왼어깨와 턱을 분리되어야 한다. 전환동작에서 왼어깨·턱이 붙어 있으면, 어깨(등)를 돌려서 스윙하려 하기 때문이다. 또한 오른팔꿈치를 최대한 펼치는 느낌으로 팔을 내려야 하는데, 여기서 주의할 점은 오른손목의 접힘은 유지해야 한다. 느낌은 펼치지만, 제3자가 보기에는 오른팔꿈치는 여전히 굽혀져 있을 것이다.
아마추어의 다운스윙이 엎어지는 궤도로 들어오는 이유는 어깨선이 빨리 틀어지기 때문이고, 이는 백스윙탑에서의 양견갑골 위치가 빨리 풀어짐으로 인해 발생한다. 전환동작 리허설을 해보면, 견갑골을 의식하지 않으면 어깨 기울기의 각도가 급하게 변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드라이버는 전환 과정에서 양견갑골의 위치를 유지하려다 보면, 특정 구간에서 스탑지점이 느껴져야 한다. 이 스탑지점까지만 양견갑골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면, 이후 맘껏 휘두르는대로 직선거리를 낼 수 있다. 이전 글 <궤도 안착을 위한, 스트레칭>에서는 다운스윙에서 오른팔꿈치가 정면을 바라보게 하는 스플릿 핸드 드릴을 언급했는데, 주상골 뿐만 아니라 견갑골도 느껴보자.
결론은 자기 만의 느낌, 사무라이
어느 날 버디찬스가 갑자기 많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흔히 골프신이 내렸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자기 만의 형언할 수 없는 느낌을 잡은 날이다. 물론 골프가 끝나거나 다음날이면 온데간데 없이 까먹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사무라이가 칼 빼는 듯한 동작만 생각했을 뿐인데, 임팩트가 타격감 없이 잘 들어가는 날이 있다. 일단 오른쪽 골반 쪽으로 그립을 당긴 이후에, 오른쪽 앞쪽으로 팔을 뻗는다. 이는 마치 사무라이(왼팔잡이)가 오른허리의 칼집으로 손을 가져가서, 칼을 뽑는 이미지와 유사하다. 다만 구분동작에서 작동하는 팔이 다르다.
왼손 : 칼집으로 손을 가져가는 동작
오른손 : 칼집에서 칼을 뽑는 동작
믿기 않지만, 위 2가지의 미세동작(v형)만으로 골프의 여러 문제(체중이동, 궤도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 그 전에 클럽헤드의 무게를 느끼지 위해, 어드레스 동작에서 양팔꿈치를 기준으로 클럽헤드를 늘어 뜨릴 줄 알아야 한다. 양팔꿈치에서 늘어 뜨릴 때 신경써야 하는 부분은 스윙 내내 팔꿈치를 접지 않아야 겠다는 다짐이다.
백스윙 내내 오른발은 안쪽에 중심이 있어야지, 스웨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드레스에서부터 오른발바닥을 안쪽으로 기울이고 이 모양을 최대한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백스윙탑에 도달하기 전에 왼발 안쪽을 딛어야 하는데, 왼발로 클럽을 백스윙한다는 느낌을 가져야 한다. 딛는 시점은 개인의 경험에 따라서 정해야 한다.
다운스윙에서 가장 큰 문제는 왼골반이 펴지면서 몸이 일어나는 얼리익스텐션(early extension)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테이크어웨이부터 왼골반의 접힘을 의식하고 있어야 한다. 골프에서 가장 본능적이지 않는 동작이 왼골반 접힘인 듯한데, 진화단계에서 하체의 에너지를 쓰는 행위가 골반의 펼침에서 나왔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에너지량도 좋지만, 골프에서는 무엇보다 정확도가 중요하다. 본능을 저지해야만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 골프이다.
'골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골프장] 야경이 아름다웠던, 블루헤런 (2) | 2025.09.29 |
---|---|
[골프] 기울어진 어깨선과의 조합, 궤종 (3) | 2025.09.28 |
[골프] 손 보다는 항상 안쪽, 팔꿈치 (3) | 2025.09.22 |
[운동/골프] 지면을 치는, 바운스 (0) | 2025.05.12 |
[골프] 궤도 안착을 위한, 스트레칭 (1) | 2025.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