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5 [역사/교통] 근대화에 이어 친환경, 트램 수 년 전부터 국내의 몇몇 지자체(부산·대전·울산·동탄 등)에서는 트램(Tram)을 교통수단으로 도입하려는 계획을 발표해왔다. 트램을 도입하려는 주된 이유는 교통난 해소와 친환경 대중교통체제로의 전환이었으나, 지상선로의 확보와 경제성 부족 등의 문제로 대부분 좌초되었다. 2022년 11월 28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는 위례선 도시철도 건설사업의 사업계획을 승인한다고 밝혔고, 이는 남위례·북위례를 관통하는 트램사업으로 2025년 9월 개통을 목표로 한다. 현재 위례중앙광장의 정거장 예정지에는 연약지반 강화를 위해 펜스를 치고 흙더미를 사람가슴 높이 만큼 가져다 놓았다고 하니, 정말 몇 년 후에는 트램이라는 신선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서울에서 트램은 처음이 아니다. 일제.. 2023. 3. 2. 과거 개울가에 오물 버리듯, 후쿠시마 방류 원자력사고로 인한 오염수에 함유된, 방사성물질바다에 방류되는 오염수는 일본정부만의 문제를 넘어주변국과의 신뢰회복을 통한 협력 필요[Shorts] https://www.youtube.com/shorts/jKABRZvJ1Fo 2011년 일본 연안에서 대규모 지진과 이에 따른 쓰나미로 인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참사가 발생하였고, 그로 인해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지구환경으로 방출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는 1986년 소련 체르노빌(Chernobyl)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로 가장 중대한 원자력 관련사고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제사회에도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최근 몇 년 간 일본정부는 후쿠시마 사고현장에서 처리된 오염수를 태평양으로 방류하는 것을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고, 이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오염수의 .. 2023. 2. 28. [인프라] 고령화를 피해갈 수 없는, 교도소 최근 북한에서는 교도소의 열악한 환경으로 집단탈옥이 발생하였고, 해외도피 중이던 모기업 회장이 급거 귀국한 배경으로 태국 교도소의 비인간적인 처우에 대한 우려라는 말들이 있었다. 교도소는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은 사람들을 감금하기 위해 설계된 건축물로, 대부분의 국민들은 교정시설에 대해 잘 알지 못할 뿐더러 알 필요도 없다. 몇 년전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슬기로운 깜방생활은 많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교도소라는 공간·환경을 시각적으로 익숙하게 해주었다. 일부 탈옥을 주제로 한 영화들은 극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비현실적인 탈옥계획을 연출하지만, 현실에서는 만만치 않은 도전이다. 오늘은 교도소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특성 1) 보안 중심의 공간 배치 교도소는 보안을 최우선으로.. 2023. 2. 28. [우주] 행성에서의 부동산 개발, 테라포밍 어릴 적 은하철도999나 장고 같은 만화영화를 보면서, 지구 외의 행성들도 지구와 같은 환경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무의식적으로 생각했었다. 가령 행성 간의 이동을 기차로 하고, 별 다른 보조장치 없이도 호흡을 하면서 집을 짓고 살아갈 수 있을 줄 알았던 것이다. 테라포밍(Terraforming)은 다른 천체(주로 행성)를 인간이 거주할 수 있도록 변형시키는 과정으로, 수 십 년에 걸쳐 널리 논의되어 온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불가능한 한계들이 산재한 과제이다. 라틴어 테라(Terra, 땅·지구)는 여성형 명사로, 로마신화에 나오는 대지의 여신 텔루스(Tellus)의 이명이다. 이탈리아어 테라로사(Terra rossa, 적토층)에서 로사(rossa)는 적색을 뜻한다. 프랑스어 떼루아(Te.. 2023. 2. 27. 이전 1 ··· 74 75 76 77 78 7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