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십갑자2

통변의 시작, 신약신강 자평명리학(子平命理學)은 중국 오대 서자평이 개발한 사주명리학의 한 분파로, 일간을 중심으로 한 힘의 균형과 조후(사주의 차고 따뜻함)의 균형으로 사주를 해석하는 학문을 말한다. 자평명리학은 다음의 2가지 부류로 구분된다. 억부파(적천수) : 억부 중심격국파(자평진전) : 격국(용신) 중심 억부파(抑扶派, 누르고 도움)는 일간 중심의 신강신약 틀 내에서의 힘의 균형만으로 결론을 내는 반면, 격국파(格局派, 구조·상황)는 월지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결론을 낸다. 불균형을 조절함에 있어서, 월지의 사용 여부가 중요한 차이인 것이다. 격국파는 기준(월지)과 유형분류가 명확하기에 통변이 쉬운 반면, 억부파는 팔자의 전체적인 윤곽을 자유롭게 고려할 수 있다. 격구파는 월지에 갇혀서 전체적인 윤곽을 고려하지 못하며 .. 2025. 3. 31.
초인적인 뭔가, 사주팔자 운명(運命, 숙명·필연)은 모든 것이 나아갈 길을 지배하는 초인간적인 힘, 내지 그것에 의해 이미 정해져 있는 목숨·처지를 의미하며, 명리학은 명(命, 사주팔자)과 운(運, 시간·환경 변화)를 함께 다루는 학문이다. 이전 글 대립하면서도 의존하는, 태극>에서는 사주명리·간지·오행·생극·음양에 대해서 언급했는데, 만물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2개 요소 : 음양(陰陽)5개 요소 : 오행(五行, 목화토금수)60개 요소 : 간지(干支, 천간 10개 x 지지 12개)    천간(天干) : 기운(이상·의지·개념)    지지(地支) : 현상(현실·환경)    지장간(支藏干) : 무의식인생을 육십갑자(육갑·육십간지)로 표현하는데, 이는 천간·지지를 조합한 60개의 간지이다. 간지의 조합은 총 120개이지만,.. 2025.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