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a2

역사를 써나가는, MG손보 2024년 12월 예금보험공사(예보)는 MG손해보험(MG손보) 매각과 관련한 자산부채이전(P&A) 거래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메리츠화재를 선정하였으나, 2025년 3월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공식적으로 반납하면서 MG손보의 4번째 매각시도가 무산되었다. 이전 글 부실금융을 정리하는, 예보>에서는 이미 2025년 1월 메리츠화재가 실사과정에서 노조의 협조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자칫 정리·청산·파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었다. 메리츠화재는 고용승계와 관련하여, 전 직원의 10% 고용승계와 함께 250억원 수준의 비고용 위로금을 제시했다. 이는 고용승계 의무가 없는 P&A 거래 치고는 나름 성의있는 제안이라고 볼 수 있수도 있지만, 노조는 그렇지 않았나보다. MG손보는 7년 전 금융당국의 시정조치를 .. 2025. 3. 15.
부실금융을 정리하는, 예보 이전 글 금리인상이 서서히 죄어온, 은행 파산>에서는 SVB가 자본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채권·주식·회사를 매각하는 과정에서 바이럴로 인해 뱅크런의 가속화와 주가폭락이 초래되었고, 결국 금융당국이 개입하였다고 언급했었다. 이는 부실금융회사에 대해 신속한 대응·정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줬다. 금융회사가 부실해지면 투자자·예금자는 손실에 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금융시장 전체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제정된 법이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금산법)이다. 이 법은 부실금융기관을 신속히 처리하고, 금융지주회사·대주주가 금융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금산법의 목적을 달성하는 과정에서, 예상 외의 역할을 하는 예금보험공사에 대해.. 2025.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