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풍선효과2

[부동산] 또 다시 시작될지 모를, 규제폭탄 오늘날 부동산시장 참가자들은 과잉정보를 얻고 있는데, 거짓된 선동성 정보와 정확하고 유익한 정보가 마구 섞여 있다. 합리적인 인간들은 과잉정보 속에서 자기 만의 학습을 통해 빠른 판세분석력과 판단력을 키우게 된다. 한 마디로 정보에서 금맥을 찾는 세상이다. 2025년 6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년 4개월(2023.1월~2025.4월) 동안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다음과 같았다. 서울 : +16.1%수도권 : +9.6%비수도권 : △1.7%동 기간 수도권의 거래량은 장기평균을 상회한 반면, 비수도권의 거래량은 장기평균을 밑돌았다. 강남 일부 아파트가격의 상승률이 연 +30% 수준(주간 +0.7%)이라는 우려 섞인 강조도 빠트리지 않았다. 외지인의 서울주택 매입비중은 매매가격지수와 1.. 2025. 6. 27.
[금융] 다시 찾아온 자산사이클, 금리인하 미국 FED가 기준금리를 0.5%p 인하하는 빅컷(Big cut)을 단행하면서, 통화정책을 피벗했다. 지난 몇달 동안 시장(금융·자산)을 들었다 놨다 하던 FED에서 노련하게 실행한 만큼, 단행이라는 표현이 아깝지가 않다. 수개월 동안 전세계의 투자자들은 파월의 입만 쳐다보며 기대·실망을 반복했고, 그 사이에 금리인하에 대한 불확실성을 커져만 갔다. 여기서 파월의 노련함을 엿볼 수 있었는데, 긴장을 충분히 늦춘 후에 과감하게 빅컷을 한 것이다. 몇 개월 전에 금리인하를 했더라면, 아마도 시장의 변동성이 더 컸을 것이다. 물론 거의 확정적인 사실은 존재하는데, 금리인하의 추세화가 자산가격의 우상향으로 이어질 거라는 것이다. 금리정책 변곡점을 지난, 미국 최근 미국은 고금리(모기지금리 7%대) 상황에서도 주.. 2024.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