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간1 [철학/사주] 인생에도 필요한 뿌리, 통근 사주통변은 정답이 없는 열린 해석이다. 물상·조후·격국·억부를 인생의 시기에 맞게 적절하게 적용하면서, 펼치는 작품과도 같은 것이라 생각된다. 사주원국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봐야하는 글자는 일간을 중심으로 월지·일지·시지이며, 이후 나머지 4개의 글자와의 상관성을 찾아 나가게 된다. 일간·월지 간의 물상을 떠올리면서, 일간·원국의 음양을 느낄 수 있다면 더 정확한 통변이 가능할 수 있다.성향의 차이, 음양양간(陽干)은 강직하고 명분을 따르며, 적극적이고 대범한 기질을 가지고 있어서 괄괄·털털한 모습을 보인다. 음간(陰干)은 정의 없이 눈치껏 세력을 따르며, 소극·소심하고 세심한 면이 많다. 양간은 돌출형의 외모를 갖춘 반면, 음간은 오목하고 오밀조밀하게 생겼다. 양일간·음일간의 성향은 다음과 같이 차이가 .. 2025. 4.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