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디플레이션2

[경제] 금리인하 경쟁의 단초, 관세 인류가 정착생활을 시작하고 도시를 형성하면서, 자연스레 교역이 늘어났다. 서양 고대문명(메소포타미아·이집트)에서는 특정지역을 통과하는 외부의 상품에 대해 관습적으로 세금(통행료)을 부과하는 제도가 있었는데, 오늘날 관세의 기원이다. 관세는 국내산업을 보호하고 국가재정을 확보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통행세의 개념에서 출발하다 보니, 해적과도 연관이 많다. 16세기 대항해시대, 대서양으로 진출한 스페인은 지중해에 대한 관심이 줄어 들었는데, 이 때 이슬람 해적들이 타리파(스페인 남부 섬)를 점령했다. 타리파(Tarifa)는 타리크(Tariq, 무어인 장군)의 이름을 딴 지명이다. 해적들은 타리파를 거점으로 하여 지브롤터 해협을 통과하는 무역선들로부터 통행료를 강제징수했는데, 이 통행료가 훗날 관세(Tar.. 2025. 7. 10.
[경제] 가격과는 차원이 다른, 물가 흔히 가격이라고 하면 마트의 상품라벨에 쓰여져 있는 숫자로만 인식한다. 그 하나의 가격숫자가 개인에게 깊이 각인되는 이유는 내 지갑에서 돈이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경제원론에 등장하는 물가는 물건의 가격으로 해석은 되지만, 선뜻 이해는 되지 않았다. 개인이 접하는 개별가격와 달리, 이 세상의 모든 물건들의 집합가격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물가변동을 측정하는 주요지표로는 크게 다음 2가지가 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생산자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 이 지표들은 전반적인 경제추이를 판단하여 정책결정을 내리는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CPI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재화·서비스, PPI는 다양한 산업분야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재화·서비스.. 2023.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