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담보신탁2

소규모 개발의 구세주, LH 정부는 무주택자·서민을 위한 저렴한 공공임대주택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로 하여금 주택을 매입하여 왔는데, 그 대상에는 왠만한 주택형태(다가구주택·다세대주택·아파트·연립주택·주거용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등)dl 해당된다. 2022년 이후 부동산경기 침체에 따른 분양위험과 건설원가(물가·인건비) 상승이 있었고, 이에 따라 민간에서는 주택의 공급·분양을 꺼려왔다. 정부는 임대물량 확보라는 근원적인 차원을 넘어, 민간개발시장에서 위험(자금조달·분양)을 낮추기 위해 LH 매입을 활용할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2023년 원희룡(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의 브레이크로 LH 매입은 브레이크가 걸렸고, 그 해 LH 신축매입약정 실적은 4,439가구에 그쳤다. 2025년 1월 2일 LH는 신축매입임대주택.. 2025. 2. 13.
금리와 인플레에 무너진 다리, 브릿지론 채무불이행 위험이 점점 높아지는, 브릿지론거시환경 악화로 점점 기대하기 힘든, 본PF 전환EOD 처분의 주체가 되는, 부동산신탁사PF위험 일부를 시공사로부터 분담한, 금융사·신탁사향후 대주와 신탁사 간의 논란이 많을, 책준관토 손해배상[Shorts] https://www.youtube.com/shorts/roHyHxQtnXg 금융권의 부동산PF대출 연체잔액이 2022년 9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2배를 초과한 1조1465억원을 돌파하였고, 연체율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연체잔액은 금융당국이 향후 부실가능성을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인데, 최근 브릿지론의 위험을 높게 보고 있다고 한다. 브릿지론(Bridge Loan)은 사업부지 확보를 위한 토지잔금대출로, 본PF 직전에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고 하여 브릿지(.. 2023.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