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도시

[역사/조선] 공천권을 두고 시작된, 붕당정치

by Spacewizard 2023. 12. 18.
반응형
 

 

직장생활을 하는 이들에게 연말 인사시즌은 기대·불안이 공존하는 시간이다. 지난 업적·고과를 스스로가 높게 평가한다면 기대를 할 것이고, 남들에 비해 눈에 띄는 성과·평가를 받지 못한 이들은 불안해 할 것이다. 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사회는 한정된 자리를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치르는 자리싸움의 역사였다. 일상적인 인사개편은 정해진 인사시스템 내에서 이뤄지기도 하지만, 보다 큰 권력을 얻기 위해서는 피 튀기는 모험·도전이 필요했다. 과거에는 국가권력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반역·내전을 일으켜야 했지만, 민주주의가 보편화된 오늘날에는 평화로운 정권교체방법인 선거를 치르고 있다. 국가통수권자를 결정하는 선거시즌은 사실상 내전상태에 가깝봐도 무방하다.

 

정치인들에게는 생물학적 목숨이 아닌 정치생명이라는 표현을 많이 하는데, 그들에게 선거의 승리가 정치인으로서의 생명을 연장하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주기적인 선거시즌에 유권자들이 목격하게 되는 광경이 하나 있는데,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공천권자에게 줄서는 모습이다. 이러한 행태는 조선시대 붕당정치로부터 기원했다고 생각된다.

 

사림파(士林派)은 15세기 말 이후 중앙에 진출하여 훈구파의 심한 탄압을 견뎌내면서 성장해왔다. 사화(士禍)선비들이 겪은 반대파 숙청사건으로, 조선시대 4대 사화는 다음과 같다.

 

무오사화(1498년, 연산군 4년) : 사림파 숙청

갑자사화(1504년, 연산군 10년) : 훈구파·사림파 숙청

기묘사화(1519년, 중종 14년) : 사림파 숙청

을사사화(1545년, 명종 즉위년) : 대윤파 숙청

반응형

척신정치의 끝에 등장한, 사림파

 

을사사화는 소윤파가 대윤파를 숙청한 사건이다. 중종의 계비 2명(장경왕후·문정왕후)이 모두 윤씨였는데, 당시 다음의 2개의 파벌이 경쟁 중이었다. 

 

대윤파 : 윤임(장경왕후 오빠)

소윤파 : 윤원형(문정왕후 동생)

 

장경왕후는 중전이 된 지 8년 만에 이호(훗날 인종)를 출산한 후 산후병으로 죽게 되는데, 이어서 중전이 된 17세 문정왕후는 장경왕후의 아들을 친아들처럼 돌보았다. 딸만 내리 3명 낳은 문정왕후에게 별 다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전 글 <호화로운 풍류에서 시작된, 순화궁 터>에서 문정왕후의 딸 효순공주가 구사안과 혼인한 뒤, 중종이 순화궁 터에 있는 집을 고쳐주었다는 언급을 했었다.

 

하지만 문정왕후는 중전이 된 지 17년 만에 이환(경원대군, 훗날 명종)을 낳으면서 입장이 난처해졌다. 세자(인종)와 그의 후손이 왕위를 계승하는 한, 친아들이 왕이 될 가능성이 희박해보였을 것이다. 이러한 경쟁구도로 인해 대윤파도 인종의 안위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문정왕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악평을 기록하고 있다.

 

윤씨는 천성이 극악스럽고 명종이 즉위한 뒤로는 그 아우 윤원형과 중외에서 권력을 휘둘렀으며 20년 사이에 조정정사가 어지러워질대로 어지러워지고 국맥이 끊어졌으나, 종사가 망하지 않은 것이 다행일 뿐이다. 그렇다면 윤씨는 사직의 죄인이라 할 만한다

 

문정왕후가 천성적으로 표독했는지, 아니면 궁지에 몰린 자식과 자신의 생존을 위해 그렇게 변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암튼 문정왕후는 늦둥이 아들을 정적들로부터 보호하고 왕위에 올리기 위해, 동생 윤원형과 정난정(윤원형 첩)의 도움으로 대윤파에 맞서게 된다. 2001년 방영된 드라마 여인천하에서는 문정왕후(전인화 분)가 온화한 이미지를 보이고 있는데, 이와 달리 실제의 문정왕후는 세자를 죽이기 위해 세자궁에 불을 지르기도 하고, 독설·저주를 일삼았다고 한다. 이전 글 <인간계에서는 그 누구도 피해갈 수 없었던, 천연두>에서는 천연두에 걸린 경원대군의 안위가 걱정된 나머지, 문정왕후가 남편 중종의 시신이 왕릉에 안치될 때까지 매일 아침 시행해야 하는 곡·제사를 금지시키려 하였다고 언급했었다.

 

1567년(선조 즉위) 이후 사림파는 중앙정계에 대거 진출하면서 정국을 주도했다. 사림파들은 훈구정치를 청산하고, 명종시대 윤원형의 척신정치가 빚어낸 폐단을 시정하고자 하였다. 척신(戚臣) 왕실과 혼인을 맺은 가문 출신의 신하를 말하는데, 즉 외척(外戚, 외가 친척)이다.

 

당파의 시작, 이조전랑

 

도학정치를 시대정신으로 앞세워 사림파도 인사권(현 공천권)을 놓고 분열했는데, 이조전랑조선시대 조정인사를 담당했던 이조에 속한 관직이다. 전랑(銓郞)은 인선실무를 담당하는 다음 6명을 통칭하는 직책이었는데, 전(銓, 저울)을 붙인 이유는 공정하게 저울질하여 적절한 이를 추천하라는 취지였다.

 

정5품 : 정랑 3명

정6품 : 좌랑 3명

 

낮은 지위임에도 주요부서 인사에 대한 추천권을 가진 이조전랑의 권한은 막강했는데, 그 배경에는 자대권(自代權, 스스로의 후임을 추천하는 권한)이 자리잡고 었다. 이조전랑의 자대권에는 이조판서도 관여할 수 없었기에, 이조전랑을 한번 차지한 계파는 인사권을 악용한 독주를 이어갈 수 있었다. 조선정치의 폐단으로 알려진 붕당(朋黨)도 결국 이조전랑의 자리를 두고 일어난 싸움에서 시작되었다.

 

선후배 간의 대립으로 시작된, 분당

 

1565년(명종 20) 문정왕후가 죽자, 윤원형은 양사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박탈당한다. 그러나 선조 초기 척신정치의 적폐청산의 급진성을 둘러싸고, 다음의 인물을 중심으로 한 사림 내 선후배 간의 의견대립이 있었다. 여기에는 인순왕후(명종 비)가 또 연관되는데, 척신정치의 청산과정에서도 척신이 관여되는 것이다.

 

선배사림 : 심의겸(인순왕후 동생)

후배사림 : 김효원 

 

1572년(선조 5) 김효원이 이조전랑에 추천되었으나, 거부당했다. 심의겸(이조참의)가 척신적폐의 중심이었던 윤원형의 문객이었다는 이유로 반대했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2년이 지난 1574년, 결국 김효원은 이조전랑에 발탁되었다. 하지만 이듬해인 1575년 김효원이 다른 관직으로 발령이 나면서, 후임자를 선정해야 했다. 심의겸은 심충겸(심의겸 동생)을 추천하였는데, 김효원은 이조전랑의 직분은 척신의 사유물이 될 수 없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당시 심의겸·김효원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사림파는 동서분당된다. 이 때 동서의 기준은 당사자들의 집 위치였다. 

 

서인(심의겸 집) : 서쪽 정릉방(현 정동) 

동인(김효원 집) : 동쪽 낙선방 건천동(현 인현동)

 

이이(부제학)는 당쟁을 중재하기 위해 심의겸·김효원을 각각 개성유수·부령부사로 전직시켰으나, 이미 양당의 대립은 뿌리가 깊어졌었다. 동인은 주로 이황·조식·서경덕 문하생들로 구성되었으며, 류성룡·정여립이 있다. 1582년(선조 15) 이이가 동서중재를 포기하고 서인을 자처했는데, 서인에는 이이·성혼 문하생들이 많았다. 이이가 죽은 1584년(선조 17) 이후, 동인이 득세했다.

 

하지만 5년이 흐른 1589년 정여립(동인)의 모반에 따른 기축옥사로 동인(이산해·류성룡)이 수세에 몰렸지만, 2년 후 다시 동인세력이 회복했다. 1591년(선조 24) 광해군 건저(建儲·세자책봉) 건으로 인해 정철(서인리더)이 선조에게 축출되었기 때문이다. 기축옥사의 보복 차원에서 동인이 기획·실행한 건저문제가 성공한 부분으로 비춰봐서, 당시 정쟁이 만만한 싸움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