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기 우주2

[우주] 다양한 얼굴을 가진, 블랙홀 빅뱅 이후 약 30억 년 밖에 안 된 초기우주(Early universe)에서 합체되고 있는 은하의 중심에서 중력으로 묶여있는 한 쌍의 퀘이사가 밝게 빛나는 아주 드문 광경이 포착돼 학계에 보고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서로 붙어있는 초대질량블랙홀(SBH, Supermassive Black Hole)을 초기 은하에서 찾는 것을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는데, 이는 2개의 블랙홀이 동시에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며 빛나는 퀘이사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SBH는 태양질량(M)의 수 십만 배에서 수 십억 배에 이르는 가장 큰 유형의 블랙홀로, 거의 대부분의 은하의 중심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개로 보이는 퀘이사가 중력렌즈 효과가 아닌 실제 한 쌍의 퀘이사라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파부터 X선.. 2023. 4. 11.
[우주] 젊은 우주로 다가가는, 제임스웹 2022년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제임스웹(James Webb)은 역대 가장 강력한 대형 우주망원경(적외선)으로,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뛰어난 스펙·성능을 통해 획기적인 관측과 발견을 해낼 것이라는 큰 기대를 받고 있다. 제임스웹에게 기대되는 부분들을 알고 나면 우주에 관한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다. 뛰어난 우주망원경들, 허블·제임스웹허블은 20세기 초 우주·은하의 팽창을 관측한 에드윈 허블(Edwin Hubble)의 이름을 딴 기다란 원통형의 우주망원경으로, 원통 좌우에 설치된 태양전지를 통해 에너지를 충전된다. 1990년 4월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실려 지상 610km 위의 지구궤도에 안착한 이후, 지구를 돌면서 지금까지 우주를 관측하고 있다. 허블의 관측은 우주나이를 10% 오차.. 2023.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