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합1 [철학/사주] 내면의 변화를 담은 합충, 천간 사주통변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합충으로 인한 변화가 워낙 복잡하고 주관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합충으로 나타나는 22개의 간지의 복잡성을 이해한다면, 왠만한 통변은 가능하다. 사주원국에 내재된 합은 살면서 계속해서 느껴왔기에, 크게 영향력을 실감하지 못한다. 하지만 운에서 오는 합은 그 영향력을 실감할 수 있는데, 익숙하지 않는 기운이기 때문이다. 우주는 불균형 속에서 회전·변화를 계속하고 있으니, 사주원국도 주변과의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이다. 운은 원국을 끊임없이 지나가면서 변화를 가져온다. 하지만 원국·대운·세운까지 펼치면, 5개 이상의 합충이 복잡하게 얽혀지게 된다. 여기에 월운·일운·시운까지 펼치면 합충의 수는 기하급수적인 증가하게 되므로, 사실상 월운·일운·시운을 .. 2025. 4.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