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엘리베이트의 개발1 [역사/교통] 근대화에 이어 친환경, 트램 수년 전부터 국내의 몇몇 지자체(부산·대전·울산·동탄 등)에서는 트램(Tram)을 교통수단으로 도입하려는 계획을 발표해왔다. 트램을 도입하려는 주된 이유는 교통난 해소와 친환경 대중교통체제로의 전환이었으나, 지상선로의 확보와 경제성 부족 등의 문제로 대부분 좌초되었다. 2022년 11월 28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는 위례선 도시철도 건설사업의 사업계획을 승인한다고 밝혔고, 이는 남위례·북위례를 관통하는 트램사업으로 2025년 9월 개통을 목표로 한다. 현재 위례중앙광장의 정거장 예정지에는 연약지반 강화를 위해 펜스를 치고 흙더미를 사람가슴 높이 만큼 가져다 놓았다고 하니, 정말 몇 년 후에는 트램이라는 신선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서울에서 트램은 처음이 아니다. 일제강.. 2023. 3.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