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업무대행사2

필요는 하지만 여러 오명을 가진, 업무대행사 도시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은 오랜 세월 특정된 지역을 기반으로 생활을 영위해 온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다보니 조합원 간의 공감대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지역주택조합은 업무대행사가 제3의 지역에 대한 기획과 더불어 초기 지주작업을 진행하는 등의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 이후에서야 조합원들을 모집하는 형태라서 조합원들이 사업부지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부족한 편이다. 이전 글 에서는 지역주택조합의 개괄적인 내용을 언급했었는데, 오늘은 업무대행사의 역할과 함께, 업무대행비의 성격 및 문제에 대해서 잠시 살펴보자. 망한 사업에서 아직은 채권보전이 묘연한, 조합의 채권자 지역주택조합은 법적 성격이 '민법상 조합'이 아닌 '비법인사단'으로, 권리능력는 없지만 채무부담은 가능한다. 일반적인 사업흐름에서 조합의.. 2023. 5. 1.
[부동산] 수업료 비싼 내집마련, 지역주택조합 부동산개발사업을 위해서는 토지매집을 진행하는데, 이를 흔히 지주작업라 한다. 지주작업을 전문으로 하는 용역사가 있는데, 오랜 기간 토지주들을 설득하여 개발부지를 확보한 후에 시행사(사업주체)는 인허가를 진행한다. 하지만 사업주체가 단일주체(시행사)가 아닌 조합이 되는 사업형태도 있는데, 바로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지역주택조합사업이다. 지역주택조합(지주택)은 일정지역 내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아파트 건설을 위한 조합을 설립한 후, 조합이 주체가 되어 추진하는 사업이다. 간혹 조합원들의 공동구매라는 표현도 있는 만큼,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조합원들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아파트를 취득할 수 있다. 하지만 조합원 모집률이 미진할 경우, 지주택 사업진행이 지연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게 된다.지역주택조합의.. 2023.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