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종3 마음 만으로도 부처를 꿈꾼, 선종 중국불교에 있어서 정토종·선종은 실천적 교리를 강조하면서, 현재까지 동아시아 전반에서 최대 종파를 형성하고 있다. 이전 글 중국에서 현지화된, 불교>에서는 인도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되어 현지화된 개략적인 과정을 언급했었다. 정토종은 염불을 끊임없이 외우기만 하면 되는 간편함을 골자로 했지만, 선종은 이러한 간편함을 넘어 깨치기만 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서울 시내에서 가장 유명한 사찰로는 조계사·봉은사를 들 수 있는데, 조계(曹溪)는 혜능의 별호에서 유래되었다. 혜능의 육조단경은 당대의 엘리트·대중 모두에게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주돈이(성리학 시조)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혜능의 사상이 유교의 성선설과 부합되었기 때문이다. 달마로부터 시작된, 선종 중국 선종(禪宗, 선불교)은 대승불교의 한.. 2025. 2. 2. 중국에서 현지화된, 불교 석가모니의 불교는 인도에서 탄생하여,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한반도의 불교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AD 67년경 후한 효명제대, 서역불교가 중국에 최초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불교가 전래될 당시 중국에는 이미 유학·도교가 있었는데, 2세기 후반 서역·인도에서 들어온 역경승에 의해 불경이 한역되었다. 이후 인도 등지에서 온 승려들에 의해 불교경전이 한역(漢譯)되었다. 중국 고유의 철학개념(유교·도교)을 바탕으로 인도불교를 해석한 중국의 초기불교를 격의불교(格義佛敎)라 하는데, 격의(格義)는 이질적인 타문화를 이해하기 쉽게 자문화를 빌어 방편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이다. 중국불교를 이해하기 위한, 인도불교 6세기까지 인도불교의 주류였던 부파불교(소승)는 실천보다는 경전·.. 2025. 1. 26. 행운의 씨앗, 용종 대장내시경에서 용종이 하나라도 발견되면, 혹시 대장암이 아닐까라는 불안감이 엄습하기 마련이다. 선종이 대장암으로 변한다는 사실은 이미 너무 익숙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설사 용종이 발견되었더라도, 대장내시경을 진행하면서 이미 모두 제거가 된 상태라면 암으로 발전할 위험성은 상당히 낮기 때문에 과한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 젊은 시절의 아버지는 엄청난 주당이셨는데, 50대 들어서는 건강검진에서 꽤 많은 용종이 발견되었다. 오죽하면 아래와 같은 표현을 하셨다."대장에 용종이 포도처럼 주렁주렁 달렸더라"오랜 세월 마셨던 술이라는 웬수에 질려서인지, 현재 70대인 아버지는 술을 일절 입에 대지 않으시고 대장에도 별 문제가 없이 지내시고 계신다. 오늘은 현대인이라면 40대부터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대장용종에 대해서.. 2024. 9. 13. 이전 1 다음 반응형